분류 전체보기
-
우주는 도대체 얼마나 클까? -5 그래서 우리가 볼 수 있는 우주의 크기는!!!카테고리 없음 2020. 8. 16. 23:44
우주는 도대체 얼마나 클까? -5 그래서 우리가 볼 수 있는 우주의 크기는!!! 만약 우주가 유한하지만 무한하다면 우주는 관찰 가능한 우주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우리가 매우 먼 은하로 보이는 것으로 포착한 것은 우주를 일주하는 빛에 의해 실제로 만들어진 가까운 은하의 복제 장면일 수도 있다. 이 가설을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은하의 다양한 이미지가 다른 시간에 나타나 현재와는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인다. 비엘레위츠와 동료는 최종 산란 표면의 지름의 하한이 27.9기가 파섹 (910억 광년)이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하한에 불과하여서 전기 우주가 훨씬 더 크고 훨씬 더 무한할 가능성을 열어준다.이 값은 WMAP의 7년 데이터 일치 원 분석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 접근법은 논란의..
-
우주는 도대체 얼마나 클까? -4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우주 말고 진짜 우주는 어때?카테고리 없음 2020. 8. 15. 22:41
우주는 도대체 얼마나 클까? -4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우주 말고 진짜 우주는 어때? 우주론의 유명하거나 전문적인 연구 기사에서 우주라는 용어는 종종 관찰 가능한 우주를 의미하는 데 사용된다. 이것은 비록 많은 신뢰성 이론이 관측 가능한 우주보다 훨씬 더 큰 우주(전 우주)가 필요하지만, 어떤 직접적인 실험도 지구와 인과적으로 절단된 우주의 어떤 부분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없다는 이유로 정당화될 수 있다. 관측 가능한 우주 경계가 전체 우주의 경계이거나, 어떤 모델들은 우주가 유한하거나 가장자리가 없는 구의 2차원 표면처럼 고차원 아날로그처럼 유한하지만 무한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당시 우주가 어떤 물리적 경계를 가질 수도 있다는 증거는 없으며, 이는 또한 주류 우주 모델을 제시하기도 한다. 우리의 관..
-
우주는 도대체 얼마나 클까? -3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우주 말고 진짜 우주는 어때?카테고리 없음 2020. 8. 14. 01:52
우주는 도대체 얼마나 클까? -3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우주 말고 진짜 우주는 어때? 그리고 암흑 에너지 때문에 우주의 팽창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암흑에너지가 상수(불변 우주상수)에 놓일 때 우주의 팽창속도는 계속 가속되고, 미래 가시 한계(미래 가시 한계)가 존재하며, 천체에서 방출되는 빛은 지구에 도달할 수 없어서 무한한 시간 후에 관측 가능한 우주로 들어갈 수 없다. 이 미래 가시성 한계는 우주가 영원히 팽창할 것이라고 가정하여, 이론적으로 무한한 미래에 관측될 수 있는 은하의 수(적색 편이 때문에 실제로 관측될 수 없는 문제 제외), 현재 관측 가능한 은하수의 2.36배 범위에서 190억 파섹(620억 광년)의 거리에서 계산할 수 있는 은하의 수 많은 것들이 있다. 이론상으로는..
-
우주는 도대체 얼마나 클까? -2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우주 말고 진짜 우주는 어때?카테고리 없음 2020. 8. 13. 01:50
우주는 도대체 얼마나 클까? -2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우주 말고 진짜 우주는 어때? 때때로 천체물리학자들은 재결합 시대에서 방출된 신호만으로 구성된 가시적인 우주와 우주의 팽창 시작에서 발생하는 신호로 구성된 관찰 가능한 우주를 구별한다. 계산에 따르면, CMBR이 방출되는 지점에서 입자까지의 공병 거리 즉, 가시 우주의 반경은 약 140억 파섹이(457억 광년)지만, 관측 가능한 우주의 가장자리까지의 공병 거리는 약 143억 파섹(466억 광년)보다 2% 크다. 2015년 현재 우주 나이의 가장 정확한 가치는 137억 9000만 ± 2,100만 년이지만, 우주의 팽창 때문에 원래는 매우 가깝지만, 지금은 138억 광년과는 거리가 멀다(이 거리는 현재의 공병 거리와 같다). 관측 가능한 우주의 지름은..
-
우주는 도대체 얼마나 클까?-1카테고리 없음 2020. 8. 12. 00:49
우주는 도대체 얼마나 클까?-1 관찰 가능한 우주는 현재 지구에서 관찰할 수 있는 모든 물질로 구성된 우주의 구형 공간이다. 그러한 개념은 천체에서 발생하는 빛과 다른 신호들이 우주의 팽창 시작으로부터 지구에 도달하는 데 시간이 걸렸기 때문에 만들어졌다. 관측 가능한 우주에는 적어도 2조 개의 은하가 있으며 별은 지구에 있는 모래 알갱이 수보다 많다. 우주가 등방성이라고 가정하면 관측 가능한 우주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는 한 방향으로 같다. 관찰 가능한 우주는 관찰자가 중심에 있는 공의 형태로 있다. 우주의 어떤 위치에서 그 위치를 중심으로 관찰 가능한 우주가 있으며, 관측 가능한 우주는 지구를 중심으로 관찰 가능한 우주와 겹칠 수 있으며 겹치지 않을 수 있다. 관찰 가능한 용어는 현대 기술이 실제로 그 ..
-
뭐? 겁나 뜨거운데 어두운 별이 있다고?-백색왜성 5-얘는 어떻게 발견됐는데?카테고리 없음 2020. 8. 10. 01:41
뭐? 겁나 뜨거운데 어두운 별이 있다고?-백색왜성 5 시리우스 쌍둥이 별자리의 움직임으로 계산하면 시리우스 B는 시리우스 B의 밀도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태양의 질량과 거의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후로 많은 백색 왜성이 발견되어 우주에서 매우 흔한 천체로 밝혀졌다. 1920년대 양자역학이 탄생하면서 백색 왜성의 밀도에 대한 이론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1926년 Ralph H. Fowler는 백색 왜성의 밀도를 설명하기 위해 퇴행성 물질을 사용했다. 이 연구는 몇 달 전에 발표된 전자에 대한 페르미 디랙 통계에 기초했다.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칼은 1930년에 백색 왜성의 질량이 태양 질량의 1.4배를 초과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것은 현재 찬드라세칼 한계라고 불리며, 찬드라세칼은 이 작품으로..
-
뭐? 겁나 뜨거운데 어두운 별이 있다고?-백색왜성 4-얘는 어떻게 발견됐는데?카테고리 없음 2020. 8. 9. 08:38
뭐? 겁나 뜨거운데 어두운 별이 있다고?-백색왜성 4 근처의 젊은 백색 왜성은 X 선 천문학과 자외선 천문학을 통해 약한 X 선을 방출하여 얇은 대기 구조와 백색 왜성의 구성을 연구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백색 왜성은 찬드라세칼의 한계로 태양 질량의 1.4배를 초과할 수는 없지만, 이 한계를 넘어서는 방법이 있다. 산성제를 형성하는 백색 왜성은 그들의 결합으로부터 물질을 계속 받아들인다. 흡수된 물질이 백색 왜성을 분쇄하고 퇴행성 압력이 더 이상 운반할 수 없는 수준에 도달하면 백색 왜성은 폭발할 것이며, 이는 모든 초신성 형태 중 가장 강력한 형태인 Ia 형 초신성이라고 불린다. 흡수체가 백색 왜성을 누르지 않고 대신 표면으로부터 융합을 일으킨다면 백색 왜성은 생성된 에너지에 의해 밝게 빛나면서 ..
-
뭐? 겁나 뜨거운데 어두운 별이 있다고?-백색왜성 3-그래서 어떤 특징이 있는데?카테고리 없음 2020. 8. 8. 04:36
뭐? 겁나 뜨거운데 어두운 별이 있다고?-백색왜성 3 이러한 열은 근처의 별들로부터 물질을 흡수하지 않는 한, 붕괴 중에 발생하는 열과 함께 연속적으로 생산되지 않는다. 그러나 백색 왜성은 매우 작다. 그리고 백색 왜성의 열은 매우 작은 면적으로 지표면을 통해서만 발산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백색 왜성은 매우 오랫동안 뜨겁게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증거는 백색 왜성의 내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냉각되면서 점차 결정화되어 다이아몬드와 같은 결정으로 안정화된다고 추측된다. BPM 37093이 이러한 예이다. 몇 시간 후, 백색 왜성은 주변 온도에서 완전히 냉각되고 결국 검은 왜성으로 변한다. 이 이론은 검은 왜성이 주변 우주와 동일한 온도에 있으며 단순히 약한 전자기파만을 생산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